티스토리 블로그를 네임칩에서 구매한 도메인(2차 도메인)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지난 시간에 이야기하였습니다. 이번에는 티스토리블로그를 네임칩에서 생성한 하위도메인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하위도메인과 애드센스 연결을 위한 설정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위도메인이란?
하위도메인이란 도메인 네임 시스템 계층에서 주 도메인(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한 2차 도메인)의 일부가 되는 도메인으로 하위도메인 또는 서브도메인이라고 합니다.
하위도메인에 대한 개념은 위키백과의 서브도메인에서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난 시간에 2차 도메인으로 abc.com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하위도메인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def.abc.com
blog.abc.com
health.abc.com
티스토리 네임칩(namecheap) 연결방법 총정리(2차 도메인)
티스토리를 2차 도메인에 연결할 경우 애드고시를 한 번만 승인받으면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네임칩이라는 곳에서 구입한 도메인을 티스토리와 연결해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
blog.shareinfoz.com
티스토리 하위도메인 연결방법
티스토리를 하위 도메인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네임칩 설정
네임칩(namecheap)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Dashboard]로 이동합니다. Dashboard 이동 후 하위도메인 설정을 희망하는 2차 도메인 옆에 [Manage] 버튼을 클릭한 후 나타나는 화면의 가장 오른쪽 탭인 [Advanced DNA]를 선택합니다.
HOST RECORDS 밑부분의 [ADD NEW RECORD]를 선택한 후 다음과 같은 CNAME Record를 추가합니다.
- Type: CNAME Record
- Host: 하위도메인 네임 (앞의 예제인 경우 def, blog, health)
- Value: host.tistory.io.
티스토리 설정
티스토리에서의 설정은 2차 도메인 설정과 거의 유사합니다. 2차 도메인 설정과 관련된 부분은 지난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티스토리 관리의 블로그 메뉴로 들어와 "개인 도메인 설정"에서 [도메인 연결하기]를 클릭한 후 아래와 같이 하위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하위도메인 입력 후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 DNS 설정 정보 확인, 보안 접속 인증서 발급이 완료되어야 하위도메인을 이용한 블로그 접속이 가능합니다.
하위도메인 애드센스 설정방법
하위도메인에서 애드센스 수익을 얻기 위해서 다음 설정을 완료해야 합니다.
- 티스토리 애드센스 연결
- 애드센스 코드 복사
- 스킨의 HTML 코드 수정
티스토리 애드센스 연결
티스토리 블로그 내 관리의 [수익]을 선택하여 애드센스계정과의 연결을 수행합니다. 아래 그림은 연결을 완료한 상태의 그림으로 연결이 완료되면 수익 밑에 [애드센스 관리] 메뉴가 나타납니다.
애드센스 코드 복사
애드센스의 코드를 가져와 티스토리 내 스킨 HTML 파일에 적용을 해 주어야 합니다. 애드센스 코드는 애드센스의 [광고 > 코드 가져오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가져온 코드 스킨 HTML에 붙여놓기
앞의 과정에서 복사한 코드를 티스토리 내 스킨 HTML 파일에 붙여 넣기 하면 하위도메인의 애드센스 설정은 끝납니다.
오늘은 티스토리와 네임칩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통한 하위도메인 연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B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트맵(rss, sitemap.xml) 등록하는 방법(구글, 네이버, 빙) (0) | 2024.07.11 |
---|---|
네임칩 2차 도메인, 하위도메인 블로그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빙 연결 방법 (0) | 2024.07.08 |
네임칩 2차 도메인,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서치콘솔 연결 방법 (1) | 2024.07.06 |
티스토리 북클럽 스킨(HTML, CSS) 수정사항 (2024 최신 스킨) (0) | 2024.07.01 |
티스토리 네임칩(namecheap) 연결방법 총정리(2차 도메인) (0)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