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LOG

사이트맵(rss, sitemap.xml) 등록하는 방법(구글, 네이버, 빙)

by blogshareinfo 2024. 7. 11.

검색엔진이 조금이라도 빨리 나의 블로그나 사이트를 크롤링, 인덱싱 하기를 원하신다면 rss, sitemap.xml 파일을 등록해 두어야 합니다. 오늘은 국내 주요 검색엔진인 구글, 네이버, 빙에서의 사이트맵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트맵 등록하는 방법
사이트맵 등록하는 방법

 

 

rss, sitemap.xml 이란?

지금까지 2차 도메인 또는 하위도메인 블로그를 구글서치콘솔,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빙웹마스터도구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내 블로그를 검색엔진에 등록한 후 rss와 sitemap.xml 정보 또한 알려주어야 합니다. 여기서 rss와 sitemap.xml 은 무엇일까요?

 

rss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입니다.)는 웹사이트에 신규 콘텐츠에 대한 요약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포맷입니다. rss는 신규 콘텐츠에 대한 노출을 보다 쉽게 해 주기 위해 사용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sitemap.xml

sitemap.xml은 웹사이트 내 모든 페이지의 목록을 나열한 리스트입니다. 일종의 블로그 목차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이트맵을 제공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크롤링 과정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는 웹페이지도 sitemap.xml을 통해 쉽게 크롤링되고 인덱싱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내 블로그 rss, sitemap.xml 확인하기

내 블로그의 rss 및 sitemap.xml 파일 확인 방법은 간단합니다. 블로그의 메인 주소 뒤에 rss 또는 sitemap.xml을 입력하면 해당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ex) blog.shareinfoz.com/rss

ex) blog.shareinfoz.com/sitemap.xml

 

 

rss, sitemap.xml 검색엔진 등록방법

rss, sitemap.xml을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서치콘솔

구글서치콘솔에 로그인 후 왼쪽 메뉴에서 Sitemaps를 선택합니다. 사이트맵 추가 화면이 나오면 자신의 블로그 주소와 함께 rss 입력 후 제출, sitemap.xml 입력 후 제출 합니다.

rss, sitemap.xml 제출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성공"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처음에는 실패가 나올 때도 있지만 몇 번 시도하면 성공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서치콘솔 사이트맵 등록 화면
구글서치콘솔 사이트맵 등록 화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로그인 후 왼쪽 메뉴의 [요청 > RSS제출] [요청 > 사이트맵 제출]을 통해 rss 및 sitemap.xml의 등록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는 제출된 rss, sitemap.xml 파일의 성공여부에 대해서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사이트맵-등록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맵 등록

 

 

 

빙웹마스터도구

빙웹마스터도구도 로그인 후 왼쪽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메뉴가 있습니다. 사이트맵을 클릭 후 나타나는 화면에서 사이트맵 제출 버튼을 클릭해 사이트맵을 아래 그림과 같이 등록합니다.

 

빙웹마스터도구 사이트맵 제출 화면
빙웹마스터도구 사이트맵 제출 화면

 

 

 

사이트맵 입력
사이트맵 입력

 

 


 

오늘은 블로그의 rss, sitemap.xml과 같이 사이트맵을 구글서치콘솔,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빙웹마스터도구와 같은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티스토리 네임칩(namecheap) 연결방법 총정리(2차 도메인)

 

💎 티스토리 북클럽 스킨(HTML, CSS) 수정사항 (2024 최신 스킨)

 

💎 네임칩 2차 도메인,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서치콘솔 연결 방법